영감을 주는 예술가들

쿠바를 사랑한 작가, 어니스트 헤밍웨이

쿠바는 신비로운 힘을 가졌다. 낯선 이에게 다정히 손 내밀게 하고, 말없이 따스한 눈빛을 보내는 용기를 갖게 한다. 세상이 나와 가까이 있음을 느끼게 한 쿠바. 그곳에서 만난 헤밍웨이의 매력은 여전히 아름다운 기억으로 남아있다.

영감을 주는 예술가들

쿠바를 사랑한 작가, 어니스트 헤밍웨이

체 게바라, 어니스트 헤밍웨이, 피델 카스트로 그리고 부에나 비스타 소셜클럽. 쿠바를 직접 가지 않고도 쿠바를 떠오르게 하는 뜨거운 상징들은 많다. 나는 쿠바 아바나 음악 그룹의 앨범 [부에나 비스타 소셜클럽] 뿐 아니라 쿠바의 다양한 음악을 틈날 때마다 찾아 듣곤 했다. 《체 게바라 평전》은 몇 번이나 반복해서 읽었고, 영화 <모터사이클 다이어리>는 여러 번 관람했으며, 헤밍웨이의 작품들과 카스트로 평전 등도 집에 잔뜩 쌓여 있다.

쿠바는 내 오랜 꿈이었다. 그런데도 수많은 핑계를 만들어내며 쿠바행을 미뤘다. 너무 멀어서, 시간이 없어서, 스페인어를 몰라서. 이런저런 핑계를 대며 제일 좋은 것을 맨 나중으로 미뤘다. 그러다 마흔의 문턱에 덜컥 다가서고 말았다. 좋아하는 것을 자꾸 미루기만 하는 내가 밉고, 싫고, 원망스러운 때가 오고만 것이다. 비로소 ‘더 이상 미루지 말아야겠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제 그만 쿠바로 떠나자고, 아바나의 뒷골목과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가 태어난 장소 코히마르와 체 게바라의 혁명의 꿈을 만나러 가자고. 그렇게 결심하자, 미친 듯이 가슴이 쿵쾅거리기 시작했다. 출발하기도 전에 꿈이 이뤄진 느낌이었다.

낡은 벽 옆에 정차한 올드카도 아름다운 코히마르
바-어디서나-만날-수-있는-체-게바라의-사진
쿠바 어디서나 만날 수 있는 체 게바라의 사진

아바나의 낡음, 아바나의 아름다움

쿠바 아바나는 모든 것이 낡았다. 거리의 자동차, 벽돌, 보도블록, 간판들 모두 하나같이 낡았다. 특히 아바나의 벽들은 대부분 오래되어, 긁힘과 부서짐의 흔적이 선연하다. 그런데 촌스럽지도, 궁벽스럽지도 않다. 아바나 사람들이 이 오래된 벽을 여전히 아끼고 사랑하기 때문일까. 아바나에서는 세월의 흉터조차 눈부시다. 쿠바 사람들은 새것에 집착하거나 신제품에 열광할 기회가 차단되어 있기에 ‘오래된 것들과 새롭게 함께 하는 법’을 찾은 것 같다. 그래서일까. 아바나에서는 새로운 것에 발 빠르게 대처하고, 유행에 신속하게 따라가는 우리의 삶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물건과 공간에 대한 깊고 오래가는 애착이 느껴진다. 오래된 벽은 오래된 그대로, 낡은 자동차는 낡은 그대로, 서로의 찬란한 파트너가 되어준다.

어니스트 헤밍웨이, 체 게바라 그리고 피델 카스트로. 세 사람의 얼굴은 쿠바 어딜 가나 만날 수 있다. 이들은 엽서로, 티셔츠로, 포스터로, 열쇠고리와 냉장고 자석으로, 심지어 건물의 로고로 생생히 살아있다. 아바나의 오래된 골목길을 걸으며 생각했다. 이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아마도 마음속에 무엇이라 이름 붙일 수 없는 ‘보이지 않는 별’의 아스라한 빛을 끝까지 믿고 따라간 사람들이 아닐까. 체 게바라에겐 혁명이, 카스트로에겐 조국이, 헤밍웨이에겐 문학이 보이지 않는 마음속 별빛이 아니었을까.

다음 날 나는 헤밍웨이가 아바나에서 즐겨 마신 모히토로 유명한 카페 ‘라 보데기카 델 메디오’로 갔다. 카페 앞에서 사람들은 열심히 셔터를 눌러댔다. 나도 덩달아 신들린 듯 셔터를 눌러대다가, 어디선가 들려오는 아름다운 노랫소리에 마음을 빼앗겼다. 누가 이렇게 노래를 구슬프고 가녀리게 부르는가 했더니, 거리의 버스커였다. 그의 영롱한 목소리를 듣고 있자니 왠지 눈시울이 뜨거워졌다. 그에게 인사하고 지폐를 전해주고 돌아서려는 순간, 그가 앞을 볼 수 없다는 사실을 알았다. 그의 목소리가 아름답다고 칭찬을 해주었으나 그는 전혀 알아듣지 못하는 것 같았다. 그는 청중과 교감하지 않으려 했던 것이 아니라 다만 ‘눈빛’으로 청중과 교감할 수 없었던 것이다. 그 사실을 깨닫자 나는 왠지 부끄러워졌다. ‘내가 감동했음을 당신이 알아주기를’ 바라는 마음이 너무 이기적인 것처럼 느껴졌던 것이다. 불현듯 그의 노래를 더 오래 듣고 싶어졌다. 그와 눈빛으로 교감할 수는 없었지만 노래를 그냥 ‘걸어가며’, ‘스쳐가며’ 듣는 것이 아니라 오랫동안 그 자리에 서서 듣고 있다는 것을, 그도 마음의 눈으로, 느껴주기를 바랐다. 목소리가 너무도 아름답다는 것을 그도 깨닫기를 바라며 나는 그 자리에 오래오래 서 있었다.

바나의-골목길을-걷는-소녀
아바나의 골목길을 걷는 소녀
아바나의 말레콘에서 푸르른 바다와 하늘을 감상하는 사람

헤밍웨이를 만난 곳, 코히마르

아바나 여행을 마친 후 코히마르로 향했다. 헤밍웨이가 《노인과 바다》를 구상한 곳, 소설 속 바다 사나이, 산티아고 노인의 모델이 된 이를 만난 곳. 그곳이 바로 쿠바의 코히마르다. 코히마르 사람들은 쿠바에서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 《노인과 바다》를 비롯해 명작을 쏟아내던 헤밍웨이가 쿠바를 떠나 미국에서 쓸쓸히 죽음을 맞이했다는 소식을 듣고 슬퍼했다. 애도하는 마음으로 자신들의 고기잡이배에서 쓰던 닻으로 헤밍웨이의 동상을 만들었다고 한다. 가난한 어부들이 자신의 소중한 닻을 십시일반 기꺼이 녹여 만든 헤밍웨이의 동상은 코히마르를 지켜주는 장승처럼 굳건히 서서 여행자들을 맞이하고 있다. 끝없이 인생의 절벽 아래로 떠밀리면서도 “실패할 수는 있어도, 결코 무릎 꿇을 수는 없다”라고 믿었던 산티아고 노인의 속삭임이 아직 귓가에 쟁쟁하다.

헤밍웨이의 집은 코히마르에서 가장 인기 있는 관광명소다. 헤밍웨이의 서재를 보려면 길게 늘어선 줄을 따라 한참을 기다려야 할 정도다. 기다림 끝에 보게 된 헤밍웨이의 방, 그곳은 전형적인 마초적 남성의 내면을 들여다보는 느낌을 준다. 헤밍웨이의 방에는 여기저기 동물을 박제해 놓은 장식품, 투우를 묘사한 사진과 그림, 사냥용 총기와 신발, 옷들이 보인다. 반면에 그가 지닌 뜻밖의 보드랍고 연약한 측면들도 있다. 바로 헤밍웨이가 키우던 강아지들의 이름을 커다랗게 새겨서 무덤을 만들어놓은 뒤뜰의 모습이 그랬다. 헤밍웨이가 즐겨 탔던 커다란 보트, 그가 《노인과 바다》를 구상하면서 머나먼 바다를 하염없이 내다보며 썼던 망원경이 있는 방도 있다. 《노인과 바다》에서처럼 청새치 한 마리를 잡기 위해 자신의 모든 힘을 다 쏟아내는 집요하고도 남성적인 집착이 헤밍웨이의 아니무스(무의식의 남성성)라면, 《깨끗하고 밝은 곳》에서 혹시나 까페에서 시간을 더 보내고 싶은 사람이 있을까봐 카페 문을 쉽사리 닫지 못하는 웨이터의 여리고도 촉촉한 마음이 헤밍웨이의 아니마(무의식의 여성성)가 아닐까. 인간에게는 아무리 애를 써도 어찌할 수 없는 자기 안의 양면성이 있다는 것을 헤밍웨이를 통해 느끼게 된다. 헤밍웨이의 단편 《깨끗하고 밝은 곳》(김욱동 옮김, 민음사, 2016)에서 나이 든 웨이터는 이렇게 말한다.

“나는 늦게까지 카페에 남고 싶어.”, “잠들고 싶어 하지 않는 모든 사람들과 함께. 밤에 불빛이 필요한 모든 사람들과 함께 말이야.”, “젊음도 자신감도 아주 아름다운 것이긴 하지만 그것들만의 문제는 아니야. 매일 밤 가게를 닫을 때마다 어쩐지 망설이게 돼. 카페가 필요한 누군가가 있을지 모른다고 생각하면 말이지.”

한 사람을 매력적으로 만드는 것은 이런 교묘한 양면성이다. 하나의 잣대만으로는 해석되지 않는 미묘한 어긋남, 극단적인 두 본성의 짜릿한 공존 같은 것들. 그것이 헤밍웨이의 매력이다.

헤밍웨이가 살았던 코히마르의 집 내부 모습

눈부시게 따스한 쿠바의 기억

아바나 부에나 비스타 소셜클럽의 공연 모습

보통 여행지는 공간의 아름다움이 오래 기억에 남는데, 쿠바는 공간보다 사람이 더 기억에 남았다. 집에 가기 싫어서 하루 종일 길가를 서성이는 아이의 손을 붙잡고 한참 동안 뛰놀고, 만삭의 임산부가 스카프를 팔고 있는 모습을 보면서 동네 이웃을 대하듯 “아기는 언제 나오냐, 이름은 뭐냐”라고 묻게 만든 것도 쿠바의 신비로운 힘이었다. 어디서 그런 용기가 나왔는지 모른다. 내가 ‘친해지고 싶다’는 표정을 먼저 보내면, 경계하거나 무시하지 않고 먼저 마음을 열어주는 사람들의 투명한 눈빛이 있었기 때문이리라. 쿠바에서 느꼈다. 세상이 내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나와 가까이 있음을. 쿠바에서는 세상이 나에게 내민 손짓이 좋았다. 내가 손만 뻗으면 닿을 수 있는 사람들의 따스한 미소가 좋았다. 기억 속의 체 게바라만큼이나, 책 속의 헤밍웨이만큼이나, 내 꿈과 그곳의 현실을 조금씩 일치시키는 여행의 걸음걸음이 눈부시게 아름다웠다.

정여울
문학·심리·여행이 어우러진 글을 쓰는 작가이자 칼럼리스트. 저서로는 《끝까지 쓰는 용기》 《그림자 여행》 《내가 사랑한 유럽 TOP10》 《늘 괜찮다 말하는 당신에게》 등이 있다.

글 정여울